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2020 아주 갭펀드(AJOU GAP FUND)
지원사업 선정과제

아주 갭펀드는 아주대학교 보유 우수 기술과 기업이 원하는 기술 사이의 갭을 해소하여 기술사업화(기술이전 및 창업) 성공률을 높이고, 시작품 개발 및 제작을 통해 기술상용성을 검증하여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입니다

황용담복합추출물을 이용한 골관절염 개선 기능성원료

선정연구실
  • 과제책임자: 정선용
  • 연구실 명: 의학유전학연구실
  • 참여인원: 4명
지원분야
  • 기술분야: BT
  • 지원내용: 데이터 확보
기술개요
연골세포의 염증억제에 좋은 효과를 내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에 대한 기술로 골관절염 치료제로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음
기대효과
  • 천연물 유래로 GLP 독성 시험에서 안전성이 확인되면 장기복용이 가능한 새로운 골관절염 개선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.
  • 전문치료제가 없는 골관절염에 대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원료로 활용되어 국민 건강증진과 골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.
  • 확실한 수요층이 있는 질환이며 전 세계적인 환자수의 증가로 인해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원료로 국내 시장 뿐 만 아니라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.
예상성과
황용담복합추출물에 대한 GLP 독성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식약처 개별인정 기능성원료
신청을 진행을 통해 기술이전 및 상용호 추진

바이러스 유전자 물질의 고감도 검출을 위한 현장검사 진단 키트 개발

선정연구실
  • 과제책임자: 박성준
  • 연구실 명: 연성소자연구실
  • 참여인원: 2명
지원분야
  • 기술분야: 기타
  • 지원내용: 시작품제작
기술개요
전염성 바이러스 감염질환의 신속진단을 위해 환자의 검체 중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물질, 즉, RNA/DNA를 추출한 후 바이오센서 상의 탐침 DNA와 서열 특이적인 혼성(hybridization)이 일어났을 때의 전기화학적 신호를 감지하는 능동 및 수동 바이오센서 기술
기대효과
바이오센서를 통한 측정 결과의 데이터화 및 축적
  - 정량적으로 바이러스를 분석하고, 이를 데이터화 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존 임상데이터와 바이러스 감염 위험 상관성을 분석하여 결과 해석.

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예상 DNA 서열 도출
   - 이를 통해 신속한 조기 대응이 가능하게 함.
예상성과
바이오 센서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를 통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추진

비대면 원격재활을 위한 재활운동프로그램용 어플리케이션 제작

선정연구실
  • 과제책임자: 윤승현
  • 연구실 명: 재활의학교실
  • 참여인원: 2명
지원분야
  • 기술분야: IT
  • 지원내용: 시작품제작
기술개요
질환 맞춤형 비대면 원격재활을 위한 재활운동프로그램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질환에 맞는 환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선택, 운동프로그램의 적정성과 강도/양 선택 가능함
기대효과
비대면 재활치료를 통한 수익 기대(기업소속 재활치료사 활용)
비대면 재활 플랫폼제공을 통한 수익 기대(타기관 소속 재활치료사 활용)
예상성과
어플리케이션 초기 시제품 제작을 통해 기술이전 및 상용화 추진

녹용혈 유래 단백질 기반의 기능성 화장품 시제품 개발

선정연구실
  • 과제책임자: 김주희
  • 연구실 명: 임상약학연구실
  • 참여인원: 3명
지원분야
  • 기술분야: BT
  • 지원내용: 시작품제작
기술개요
녹용혈 유래 단백질 기반의 기능성 바이오 화장품 조성물 및 제제 기술로 저분자 단백질 올리고펩타이드를 고정화 하고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킨 고안정성의 마이크로에멀젼 제조 기술임
기대효과
효소를 이용한 올리고 펩타이드 분해기술을 확립하고 또한 분해된 올리고 펩타이드의 분리기술을 확립함으로서 올리고 펩타이드 기반 의약품(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 원료/소재) 전문기술 이전을 기대됨.

기능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원료 및 소재 보급ㆍ확산을 통해 기능성 화장품 분야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투입되는 국가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, 사업화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K-beauty 등 한류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음.
예상성과
시제품 제작을 통한 기술 검증 후 추가 공동연구 진행 및 기술이전 및 제품화 추진